티스토리 뷰
70~80년대 한복의 디자인 변화
70~80년대 한복 디자인은 기존의 전통 한복과 현대적 요소가 결합된 형태로, 당시의 문화적, 사회적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전통 한복은 기본적으로 치마와 저고리로 구성되었으며, 긴 소매와 넉넉한 품이 특징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때부터 활동성과 실용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도입되었습니다. 특히 여성 한복의 경우 치마 길이를 짧게하거나, 치마 폭을 줄이는 등 움직임이 한결 편해졌습니다. 또한 허리선을 강조하는 디자인이 유행하면서 한복 특유의 곡선미를 더욱 부각시켰습니다.
남성 한복에서는 바지인 ‘바지사’의 허리 부분에 고무줄이 추가되는 등 착용이 더 쉬워졌습니다. 이는 전통 한복이 지나치게 격식적이라는 인식을 벗어나 일상에서 쉽게 입을 수 있는 옷으로 자리 잡는 데 기여했습니다. 저고리 부분에서도 깃과 소매의 변형이 이뤄졌습니다. 예를 들어, 전통 한복에서는 직선 형태의 깃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 시기에는 곡선미를 살린 곡깃 디자인이나 자수로 화려하게 꾸민 깃이 선보였습니다.
또한 전통 혼례복이나 중요한 행사에서 입는 의복에서는 화려함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남성 예복인 ‘갓’과 ‘두루마기’ 역시 기존의 단순함에서 벗어나, 더 풍성한 디테일을 추가하거나 색감을 강화하는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디자인 변화는 전통 한복이 단순히 의식용 의복이 아니라 대중 패션의 하나로 자리 잡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당시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한복을 입는 것이 과거보다 훨씬 대중화되었으며, 간소화된 한복 디자인은 직장이나 학교의 공식 행사에서도 정장 대용으로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생활 한복’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면서 한복은 실용적인 옷으로도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생활 한복은 과거의 전통미를 유지하되, 착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제작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한복은 일상생활에서도 큰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소재의 변화와 특징
이 시대때의 한복은 디자인뿐 아니라 소재에서도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전통적으로 한복은 비단, 모시, 삼베 등 천연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원단은 품격과 전통미를 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제작 비용이 높고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산업화와 경제 개발의 영향으로 다양한 인조 섬유가 한복 제작에 도입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폴리에스터와 나일론 소재가 한복 제작에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원단은 가볍고 관리가 용이하며, 무엇보다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일반 대중에게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특히, 한복을 구매하기 어렵던 서민층에게 인조 섬유의 등장과 확산은 한복의 접근성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소재의 다양화로 인해 한복 제작에서 창의적인 변화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전통적인 명주와 비단은 정교하고 섬세한 문양과 고급스러운 광택을 자랑하지만, 인조 섬유는 염색이 용이하고 화려한 색감을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70~80년대의 화려한 한복 트렌드와 잘 맞아떨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빨강, 파랑, 금색 등 원색이 돋보이는 한복이 이 시기에 특히 인기를 끌었습니다.
염색 기법에서도 기존의 천연 염료 대신 화학 염료를 사용하며 색상이 더욱 선명해졌습니다. 전통 염색 방식은 자연에서 얻은 은은한 색채가 중심이었다면, 화학 염료의 도입으로 강렬하고 대담한 색상이 가능해졌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소재의 두께와 질감에 따른 다양화도 이루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여름에는 가벼운 나일론 소재의 한복이, 겨울에는 두툼한 합성 소재의 한복이 제작되어 계절에 따라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색감으로 보는 당시의 시대상
한복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 중 하나는 색감의 변화였습니다. 전통 한복은 대체로 은은하고 자연스러운 색채를 강조하며, 색을 통해 계급이나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는 역할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왕족이나 귀족은 주로 금색, 자주색, 녹색과 같은 고급스러운 색상을 사용했으며, 일반 서민은 흰색이나 옅은 파랑과 같은 소박한 색을 선호했습니다.
하지만 한국 사회가 경제적, 문화적으로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한복의 색감도 현대적이고 화려한 방향으로 나아갔습니다. 빨강, 파랑, 노랑과 같은 원색이 주목받으며, 이러한 색채의 조합은 당시의 낙관적이고 진취적인 사회 분위기를 반영했습니다. 또한 금색, 은색과 같은 금속성 색상도 한복에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한복의 화려함을 한층 더했습니다.
특히 80년대에 들어서면서 파스텔 계열의 색상이 유행하기 시작했습니다. 파스텔 핑크, 하늘색, 민트색 등 부드럽고 세련된 색조는 도시화와 서구화의 영향을 받은 대중의 취향을 반영한 결과였습니다. 이러한 색감은 특히 여성 한복에서 많이 사용되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색감과는 다른 현대적인 미감을 보여주었습니다.
당시 한복 디자이너들은 전통적인 색채 조합을 재해석하여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냈습니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오방색(파랑, 빨강, 노랑, 흰색, 검정)을 현대적으로 응용한 디자인이 등장했으며, 대조적인 색상 조합을 통해 한복의 화려함과 독창성을 극대화했습니다. 이러한 색감의 변화는 단순히 미적 요소에 그치지 않고, 시대적 정체성과 대중의 욕구를 반영한 중요한 변화였습니다.